TIME PRISM(타임프리즘, OTRS 후속판) 김상범대표입니다.
TIME PRISM은 모두 아시다시피 동영상 기반의 분석 Tool 입니다.
즉, 분석에 사용될 동영상에 따라 TIME PRISM의 사용이 원활해지기도, 혹은 짜증이 날 때도 있습니다. 그러면, TIME PRISM을 사용함에 있어서 우리 회사는 어떠한 촬영장비(캠코더)를 선택하는 것이 좋은지, 그 촬영장비에 따라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지난 번 [05_동영상포맷 및 코덱(Codec) 관련]에서도 잠깐 언급한, 코덱(Codec)을 살펴볼까요? TIME PRISM은 대부분의 코덱을 지원합니다.(AVI(MotionJpeg), MPEG1, MPEG2, MPEG4(H.264), WMV, MOV, MTS 등)
이 중 어떤 코덱인가에 따라서 TIME PRISM 이용 시의 재생속도 조정, 미세조정(마우스 휠을 이용한 0.03초 단위의 조작)시의 원활함에 차이가 발생합니다.
즉, 고객 분들이 여쭤보시면 제가 ‘궁합’이라는 표현을 자주 쓰는데, 결론부터 말씀 드리면, TIME PRISM과 가장 궁합이 잘 맞는 동영상 코덱은 [MPEG4(H.264)]입니다.
앞 페이지에 “TIME PRISM에는 1280 X 720(30프레임(fps)) 정도의” 라고 했는데, 프레임(fps)이 무엇일까요?
프레임(fps)은 움직이는 영상을 구성하는 정지된 이미지들 중 한 장입니다. 즉, 마우스의 미세조정(마우스 휠 사용)과 관련이 있으며, TIME PRISM을 소개 시에 제가 “마우스 휠을 한 번 움직일 때마다 0.03초씩 이동합니다” 라고 했는데, 그것은 30프레임일 경우입니다.
쉽게 말해서 동영상이 1초 재생될 때, 30장의 정지화면이 사용되므로, 1초 ÷ 30장 = 0.03초 라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60프레임(fps)으로 촬영된 동영상이라면 마우스 휠 한 번에 30fps의 절반인 0.015초씩(더욱 더 미세하게) 조정이 가능합니다.
또한, 동영상 용량(크기)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제가 권장하는 1280X 720(30프레임)의 MP4 포맷이라면, 대략 10분에 1GB 정도입니다. 아주 극단적인 예로 GOPRO의 4K(3840 X 2160)의 60프레임 정도면…. 10분에 10GB 정도? 몇 달 촬영하시면 컴퓨터 하드 용량이 꽉 차겠죠?
따라서, 여러 환경을 감안하셔서, 적합한 촬영장비의 선택 및 Setting을 하시기 바랍니다.
'TIME PRISM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회 Smart Factory EXPO - 일본 (0) | 2016.12.23 |
---|---|
10_키를 지정된 상태에서 사용하기에 부적합합니다 조치방법 (0) | 2016.12.02 |
08_계측시간의 노란색의 의미 (0) | 2016.10.04 |
07_관리자권한 (0) | 2016.09.05 |
Part 15. TIMEPRISM(타임프리즘)이 실현하는 [일반적인 사무업무] (0) | 2016.08.03 |